카테고리 없음

트럼프 관세 폭탄, 한국은 기회일지도

동남아물어보살(About ASEAN) 2025. 4. 3. 19:25

박종훈 지식한방 트럼프 관세 방어 분석


https://youtu.be/XXbQV1lP-ls?si=F9LN_pcxBVjDuxym



미국, 또 다시 관세 카드를 꺼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하면 모든 국가에 10% 기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개했죠. "미국 우선"을 외치던 그의 전형적인 수법이지만, 이번엔 "각국을 따로 떼어놓고 협상" 한다는 점이 다릅니다.
"과연 우리는 미국의 협상 테이블에 얼마나 준비되어 있을까요?"
유럽의 경험에서 배울 점이 많습니다.

🔎 트럼프의 '분할 정복' 전략, 유럽은 이미 당했다
트럼프는 국가마다 다른 조건을 제시하며 "너만 잘하면 관세 면제해줄게" 라는 유혹을 던집니다. 하지만 결과는?
* 유럽이 보복관세로 맞섰을 때: 미국도 피해(-10), 유럽은 더 큰 타격(-20)
* 유럽이 협상 택했을 때: 미국만 득(+10), 유럽은 더 큰 손실(-30)
"협상해봤자 미국만 이기는 게임" 이란 걸 유럽은 뒤늦게 깨달았죠. 트럼프는 협상 중에도 뒤통수를 칠 수 있습니다. "이제는 단독 행동이 아닌, 연합 전략이 필요할 때" 입니다.

🇨🇳 의외의 승자? 중국이 웃는 진짜 이유
트럼프의 관세 공세는 사실상 중국 겨냥입니다. 중국에만 60% 관세를 부과하면 글로벌 기업들은 생산기지를 옮겨야 하죠.
하지만 현재 트럼프의 계획은 중국 54%, 베트남 46%, 인도 36% 등 동남아까지 골고루 타격하는 방식입니다. "중국만 죽으라는 게 아니라, 미국으로 공장을 돌려놓으려는 술수" 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중국은 오히려 안도하고 있다"
- 왜냐면 "동남아까지 관세 폭탄 맞으면, 기업들도 미국 이전을 망설일 것" 이기 때문이죠.

🇰🇷 한국이 당장 체크해야 할 4가지
"원화 폭락? 주가 대폭락? 당장은 아니다!"
1. 환율 ▶︎ 국민연금이 1,450원대에서 달러 매수 개입해 1,460원대 유지 중
2. 주가 ▶︎ 연기금이 시장을 떠받치며 미국·일본보다 하락폭 작음
3. 미국 인플레이션 ▶︎ 관세 부과로 물가 상승하면 오히려 美 수요 위축 가능성
4. 공급망 재편 ▶︎ "무조건 美로 공장 이전"보다 동남아·멕시코 등 다각화 검토 필요

💡 한국이 가져야 할 전략 3가지
"협상 테이블에서 꼭 지켜내야 할 것"
1. 반도체·배터리 카드 활용
    * "삼성·SK·LG 없인 美 전기차·AI 산업도 불가능" 이란 점 강조
2. 多국간 공조 (유럽·일본과 손잡기)
    * "미국만의 독주 막아야 모두가 이긴다"는 논리 확산
3. 생산기지 전략 재검토
    * "美로 다 몰아넣기 vs 동남아 2진 기지 확보" 신중한 계산

🔥 트럼프의 '자폭' 가능성, 한국이 역이용해야
트럼프 관세가 장기화되면 미국도 역피해를 봅니다.
* 물가 상승 → 서민 생활고 심화
* 농산물 수출 감소 → 아이오와 등 농업 주 반발
* 글로벌 기업 반발 → 애플·테슬라 등 로비 강화
"결국 협상 테이블이 열린다면, 한국은 준비된 조건을 들고 가야 한다"
* 무조건 두려워할 필요 없지만, 무작정 협상에 응할 수도 없습니다.

✍️ 마치며
"트럼프의 관세는 위기일까, 기회일까?"
단순히 "미국 눈치 보기" 에서 벗어나 한국의 기술 주권과 공급망 전략을 재정비하는 계기로 삼아야 합니다. 중국·유럽·일본과의 협력 루트를 넓히면서, 동시에 美와의 협상에서 교환할 카드를 만드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당장의 충격에 휩쓸리지 말고, 오히려 미래 산업 지도를 바꿀 전략을 세워야 할 때입니다." 💪

📌 여러분의 생각은?
* "한국도 유럽처럼 단호하게 맞서야 하나요?"
* "어떤 산업으로 미국과 맞설 수 있을까요?"
💬 댓글로 의견을 공유해주세요!


#트럼프관세 #미국관세 #한국경제 #환율 #주식 #반도체 #글로벌공급망